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KT 먹통장애 사태 '총체적 인재'‥정부, '파란불에 신호등 건너기'도 안지켜

기사승인 2021.10.29  20:16

공유
default_news_ad1

- "KT 통신 장애 원인은 '인재'…관리자 없이 협력 업체 직원들끼리 작업"

[서울투데이=이경재 기자] 최근 KT 통신 장애가 총체적인 '인재'(人災)로 드러난 가운데 29일 정부는 이와 관련해 "파란불에 신호등 건너라는 것도 안 지켰다"며 KT를 질타했다.

▲ 조경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KT 네트워크 장애 원인분석 결과 발표를 하고 있다. 이날 브리핑에서 조 차관은 "매우 유감으로 생각한다"며 "IP 패턴 등을 분석한 결과 디도스 공격은 아니다. 라우터 교체작업 중 작업자가 잘못된 설정 명령을 설정해 일으킨 장애로 전국적 네트워크 오류를 발생시켰다"고 말했다.

관계 당국에 따르면 사전 테스트 절차의 부재를 비롯해 야간 작업을 주간에 작업 관리자 없이 협력 업체 직원들 간 진행하는 등 기본이 지켜지지 않은 게 이번 사고 발생 원인으로 지목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이날 서울 정부청사에서 KT 네트워크 장애 원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 허성욱 네트워크정책실장은 "네트워크 작업을 할 때 야간에 하거나 이런 작업을 하게 되면 분명히 한두 시간 테스트를 한 다음에 오픈한다든지 이러는 게 기본 상식에 속한다"며 "예를 들면 파란불에 신호등을 건너라는 것과 똑같은 건데 이걸 규제해야 될 대상인지, 아닌지 모르겠고 저희도 당황스럽다"고 밝혔다. 규제 문제보다 기본을 안 지킨 KT 측의 문제가 더 크다는 얘기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 25일 전국을 멈춰 세운 KT 통신 장애는 부산 지역에서 진행된 망 고도화 작업 중 네트워크 경로설정(라우팅) 정보 입력 오류로 발생했다.

원인은 명령어 오류였다. KT 부산국사에서 라우터 교체 작업 중 작업자가 잘못된 설정 명령을 입력했고, 이후 라우팅 오류로 인해 전국적인 통신 장애가 발생했다. 명령어 입력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exit' 명령어를 누락해 경로 설정이 잘못됐고, 트래픽이 경로를 이탈해 목적지를 잃으면서 인터넷 연결이 안 되는 사태가 벌어진 셈이다.

특히 관리자 없이 야간 작업을 주간에 협력사 직원들 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네트워크가 연결된 채로 라우팅 작업을 진행하는 등 관리적 측면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지역에서 발생한 오류가 전국으로 확산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추지 않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즉, KT의 관리 소홀로 인터넷 장애가 전국으로 확산돼 이용자들의 피해가 발생했다는 게 정부의 조사 결과다.

작업계획서와 달리 주간에 작업이 이뤄진 배경은 작업자들이 야간에 작업하는 걸 싫어해 벌어진 일로 드러났다. 또 관리자는 다른 업무가 있다는 이유로 자리를 비운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허성욱 네트워크정책실장은 "관리자 없이 용역 업체가 주간에 파란 불에 신호등을 건너야 된다는 걸 어겨서 큰 교통사고가 난 것으로, 기본을 안 지킨 부분에 대해 어디까지 제도화해서 바꿔야 되는지 (정부가 대책을 세울 때) 애로사항이 있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주요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작업 체계와 기술적 오류확산 방지체계 등 네트워크 관리체계를 점검하고, 주요 사업자가 네트워크 작업으로 인한 오류 여부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 주요 통신사업자가 승인된 작업 계획서의 내용과 절차가 준수되는지에 대해 네트워크관제센터에서 기술적 점검 체계를 구축하도록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주요 통신사업자의 통신장애 대응 모니터링 체계 강화는 물론 네트워크 안정성과 복원력을 높이는 기술개발, 안정적인 망 구조 등 네트워크 생존성 확보를 위해 구조적 대책 마련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경재 기자 press@sultoday.co.kr

<저작권자 © 서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2

인기기사

default_setNet2
ad35
default_side_ad1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