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달러/원 환율, '1340원선' 돌파‥1350원넘어 1400원선까지 '위협'

기사승인 2022.08.23  11:06

공유
default_news_ad1

- 23일, 환율 2.0 원 오른 1341.8원 출발···오전 9시13분 현재 1343.6원에 거래

[서울투데이=이경재 기자] 달러·원 환율이 23일 1345원을 넘어서며 하루 만에 연고점을 경신했다.

▲ 2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명동점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이 전 거래일보다 13.9원 오른 1,339.80을 나타내고 있다. 환율이 장중 1340원을 넘어선 것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29일(고가 기준 1357.5원) 이후 약 13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 [뉴스1]

달러·원 환율이 13년4개월 만에 1340원선을 돌파하면서 '강달러'가 하반기까지 이어질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1350원선을 넘어 1400원 근처까지도 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오전 9시13분 현재 달러·원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3.8원 오른 1343.6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대비 2원 오른 1341.8원에 거래를 시작한 환율은 장중 1345.2원까지 오르며 연고점을 새로 썼다.

이는 2009년 4월29일(장중 1357.5원) 이후 13년4개월만에 최고다.

최근 강달러 기조가 이어지면서 6월23일 1300원대에 올라선 환율은 7월6일과 15일 각각 1310원, 1320원을 돌파했고, 전날 1330원을 넘어섰다. 이어 이날 연고점을 경신했고, 1350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환율 흐름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 일부 인사의 매파적 발언으로 긴축 의지가 재부각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정책금리가 인플레이션에 강한 하방 압력을 가할 수준으로 계속해서 신속하게 움직여야 한다"며 "(금리 인상폭을) 75bp로 지지하는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밝혔다.

유럽의 러시아발 천연가스 공급 부족 이슈로 인한 에너지 위기, 중국 내수 경기 부진 등에 따른 주요국 통화가 약세를 보이는 점도 강달러 기조가 유지되는 이유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의미하는 달러인덱스는 108선을 넘어서며 2002년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유로존 경기 침체 우려 확대에 따른 유로화 약세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점도 달러·원 환율 상승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위안화 약세도 달러 강세를 견인하는 요소로 꼽힌다.

김찬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환율 상승 배경에는 선진국 긴축에 따른 수요 둔화 압력과 유럽 에너지 위기, 중국 내수 경기 부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며 '연내 영향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달러 강세, 원화 약세 상황이 우리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도록 리스크를 관리할 것"이라며 "우리 경제의 대외 건전성은 크게 문제가 없지만 수입 물가 상승, 국제 수지가 악화해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불안하지 않도록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재 기자 press@sultoday.co.kr

<저작권자 © 서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2

인기기사

default_setNet2
ad35
default_side_ad1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